-
전력공학 스틸(still) 식
전력공학에 스틸 식이라는 것이 있다. 이와 관련된 문제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공식을 알아야 하는 문제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문제] 전송 전력이 500 MW 이고, 송전거리가 300 km 일 때, 경제적인 송전 전압은 몇 kV 인가? 문제를 풀려면 공식을 알아야 하고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전력공학에서 Still 식은 중거리 송전선로의 경제적 송전전압을 구하는 식입니다. Still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V = K * P / (L * R) 여기서, V는 경제적 송전전압(kV) P는 송전전력(MW) L은 송전거리(km) R은 전선의 저항(Ω/km) K는 상수 Still 식은 다음과 같은 원리에 기반합니다. 송전전압이 높을수록 전력 손실이 감소합니다. 송전거리가 길수록 전력 손실이 증가합..
2023.09.19 07:48 -
송전선의 현수 애자련의 연면 섬락, 연면 섬락이 뭐지?
2010년 전기기사 필기 기출 문제 중에 연면 섬락이라는 단어가 있다. 무슨 뜻일까? 검색해 보니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왔다. 결론부터 말하면 연면이란 의미는 두개가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된 두 개의 도체 사이의 섬락이라는 의미이다. 연면섬락(連面閃絡)은 전기 설비의 두 개 이상의 도체 사이 또는 도체와 대지 사이에서 발생하는 섬락을 말합니다. 섬락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어야 할 두 개 이상의 도체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면섬락은 주로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절연물의 손상 전기 설비의 절연물이 손상되면 전류가 절연물을 통해 새어나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두 개 이상의 도체 사이 또는 도체와 대지 사이에서 섬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습도, 온도,..
2023.09.19 07:07 -
성공을 위한 단 하나의 필수 요소. GRIT
Grit 이란? Grit은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장애물과 역경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는 성격 특성이다. 이 용어는 안제라 더크워스의 연구로 세상에 알려진 단어로 이 단어가 알려지기까지 다음과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녀는 우선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의 더크워스는 먼저 Grit을 어떻게 정의할지 고민했다. 그녀는 Grit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의지와 인내심"이라고 정의했다. 2. 측정 더크워스는 Grit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했다. 이 도구는 사람들의 Grit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목표 지향성, 완벽주의, 인내심 등의 요소를 측정한다. 3. 연구 더크워스는 Grit이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
2023.09.01 11:19 -
한국은행 금리 결정 일정
현재 한미 금리 격차 2%p 한국은행은 과연 이번에 금리를 또 동결할 수 있을까? 8월 24일 목요일 금리결정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이번에도 동결하게 되면 10월까지 2달간을 버텨야 하는데... 미국의 9월 금리결정도 있어서 마냥 버티기는 어려워 보인다. 특히 최근의 환율을 보면 상승추세를 이어가려고 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1350원을 넘어서면 전고점인 1450원대를 보러 갈 가능성이 높다.
2023.08.14 08:57 -
세계 주요국 물가 상승률 순위
기준 금리와 물가는 직접 연동되는 지표이다. 따라서 주요국의 물가 지표는 기준 금리, 나아가서 각 국의 경제 상황을 짐작하게 해 주는 지표가 된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래 표는 2023년 7월 기준 세계 물가 상승률 순위를 보여 준다. 가장 낮은 물가 상승률을 보여주는 중국으로 시작해서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2.7%로 공동 4위에 올라가 있다. 그리고 바로 다음으로 캐나다와 미국이 가각 2.8%, 3%로 뒤를 따르고 있다. 가장 물가 상승률이 높은 나라는 아르헨티나로 무려 116%에 달한다. 이 정도면 국가 경제가 마비될 정도로 보여진다. CountryLastPreviousReferenceUnit China 0 0.2 Jun/23 % Switzerland 1.7 2.2 Jun/23 % ..
2023.07.27 15:34 -
미국 기준 금리 인상! 한미 금리 격차 2%p로 벌어져...
미국 연준은 2023년 7월 연방기금 금리를 25bp 인상한 5.25%-5.5%로 인상했다. 이는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고 차입 비용을 2001년 1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으로 금리 인상으로 인한 물가 안정에 신경을 쓴 모습이다. 이는 현재의 한국 금리와 2% 나 차이가 나는 수치이다. 한국 은행은 연초에 금리를 올린 이후 지금까지 계속 동결하고 있다. 이로 인해 외화가 유출 될 것이라는 우려가 많은 것도 사실이나 지금까지는 잘 버텨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한국은행도 이 부분을 모르는 바는 아니나 현재 국내에 가계부채와 그보다 더 큰 뇌관으로 언급되는 PF 대출 문제로 인해 금리인상을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한국 은행 일자별 금리 결정을 보면 4월부터 계속 동결하여 왔고, 이제 당장 ..
2023.07.27 09:50 -
압구정 런던 베이글 방문 후기
오픈시간 전에 가도 1시간씩 기다린다는 런던 베이글 압구정점을 방문했습니다. 8시 오픈 거의 1시간 전에 도착했음에도 이미 줄이 있었고 대략 40명정도가 ... 헉! 3월 초순이어서 아침에는 꽤 추웠고 다행히 패딩을 입고 가서 그나마 다행~ 아래 사진은 오픈하기 전에 입구까지 들어간 모습. 어떤 블로그에서는 30분 전부터 웨이팅을 걸 수 있다고 하는데 적어도 여기는 딱 정각부터 웨이팅을 입력할 수 있었고, 그나마 10분 전에는 저기 문까지 들어가지도 못하고 아예 도로에서 기다려야 하는 상황... 내 뒤로도 많은 사람들이 보인다... 드디어 8시 오픈 시간이 되어 기다리던 사람들이 차례로 자신의 번호를 입력하고 다시 기다리는 상황이 되었다. 이제는 입구에서 콜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 번호 입력시에는 먹..
2023.03.26 09:03 -
전기 기사 절연 내력 시험 기준
전기기사 설비기준 및 KEC 에서 절연내력 시험의 기준 표 - 중성점 접지가 아닌가, 중성점 접지인가, 중성점 직접 접지인가로 나누고 전압 기준으로 정리 - 중성점 접지식은 '성형결선' 또는 '스콧 결선'에 한정한다. - 중성점 직접 접지의 경우 7KV초과~25KV 이하는 '중성점 다중 접지식'이다. - 암기법 : 전압 칠이오육공일칠공, 중성NO 1.5/1.25 , 중성점1.1(75k) , 중성직접 영구이, 땡칠이, 영육사(앞에 두개 더한 값-단 1은 빼고) 절연 제외 장소 누설전류 : 절연측정 어려우면 1mA 이하 절연성능
2023.03.26 08:10 -
마틴 암스트롱 주기상 지금의 위치는 어디일까?
미국의 애널리스트 중에 마틴 암스트롱이라는 사람이 있다. 그는 지난 역사 속의 경제의 흥망을 분석했으며, 그 분석 속에서 하나의 규칙을 발견하게 된다. 바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경제가 발전하고 망하게 된다는 것이며, 이것은 하나의 나라의 흥망에도 적용이 된다는 것이다. 그의 이러한 이론을 들어보기를 원한다면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그의 영상을 찾아보길 바란다. 물론 그는 현재 생존해 있는 인물이다. 그의 주기 이론은 미국의 주식 챠트와 많은 부분이 닮아 있다. 심지어 이미 그려져 있는 챠트인데도 주가 챠트가 그것을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의 영상에는 많은 이야기들이 있지만 지금 이 시대와 관련이 있는 챠트에 가장 관심이 가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아래 챠트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의 ..
2023.02.12 00:10 -
인공지능으로 그림을 그려주고 합성해 주는 사이트 미드저니(Midjourney)
인공지능은 정말 나날이 발전해 나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전에 본 블로그를 통해서 소개했던 Dall-E 와 같은 사이트도 정말 대단하다고 느꼈지만 지금은 그 그림의 퀄리티가 사람의 수준을 뛰어 넘은 것 처럼 보인다. 바로 아래에 보이는 사이트인 미드저니(Midjourney) 이다. 사이트에 소개된 그림들을 일부 살펴 보면 정말 대단하다는 말만 나온다. 먼저 아래와 같이 두 개의 그림을 합성해 달라고 하면 인공지능으로 합성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그런데 그 합성의 수준이 높을 뿐만 아니라 창의적이기까지 하다. 정말 인공지능의 수준을 알 수 있는 장면이다.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여 어떤 사이트의 이미지를 여러가지 버젼으로 바꾸어 보여 달라고 할 수도 있다. 내가 원하는 이미지와 같은 스타일의 사이트를..
2023.02.10 21:40
-
전력공학 스틸(still) 식
전력공학에 스틸 식이라는 것이 있다. 이와 관련된 문제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공식을 알아야 하는 문제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문제] 전송 전력이 500 MW 이고, 송전거리가 300 km 일 때, 경제적인 송전 전압은 몇 kV 인가? 문제를 풀려면 공식을 알아야 하고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전력공학에서 Still 식은 중거리 송전선로의 경제적 송전전압을 구하는 식입니다. Still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V = K * P / (L * R) 여기서, V는 경제적 송전전압(kV) P는 송전전력(MW) L은 송전거리(km) R은 전선의 저항(Ω/km) K는 상수 Still 식은 다음과 같은 원리에 기반합니다. 송전전압이 높을수록 전력 손실이 감소합니다. 송전거리가 길수록 전력 손실이 증가합..
2023.09.19 07:48 -
송전선의 현수 애자련의 연면 섬락, 연면 섬락이 뭐지?
2010년 전기기사 필기 기출 문제 중에 연면 섬락이라는 단어가 있다. 무슨 뜻일까? 검색해 보니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왔다. 결론부터 말하면 연면이란 의미는 두개가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된 두 개의 도체 사이의 섬락이라는 의미이다. 연면섬락(連面閃絡)은 전기 설비의 두 개 이상의 도체 사이 또는 도체와 대지 사이에서 발생하는 섬락을 말합니다. 섬락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어야 할 두 개 이상의 도체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면섬락은 주로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절연물의 손상 전기 설비의 절연물이 손상되면 전류가 절연물을 통해 새어나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두 개 이상의 도체 사이 또는 도체와 대지 사이에서 섬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습도, 온도,..
2023.09.19 07:07 -
성공을 위한 단 하나의 필수 요소. GRIT
Grit 이란? Grit은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장애물과 역경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는 성격 특성이다. 이 용어는 안제라 더크워스의 연구로 세상에 알려진 단어로 이 단어가 알려지기까지 다음과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녀는 우선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의 더크워스는 먼저 Grit을 어떻게 정의할지 고민했다. 그녀는 Grit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의지와 인내심"이라고 정의했다. 2. 측정 더크워스는 Grit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했다. 이 도구는 사람들의 Grit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목표 지향성, 완벽주의, 인내심 등의 요소를 측정한다. 3. 연구 더크워스는 Grit이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
2023.09.01 11:19 -
한국은행 금리 결정 일정
현재 한미 금리 격차 2%p 한국은행은 과연 이번에 금리를 또 동결할 수 있을까? 8월 24일 목요일 금리결정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이번에도 동결하게 되면 10월까지 2달간을 버텨야 하는데... 미국의 9월 금리결정도 있어서 마냥 버티기는 어려워 보인다. 특히 최근의 환율을 보면 상승추세를 이어가려고 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1350원을 넘어서면 전고점인 1450원대를 보러 갈 가능성이 높다.
2023.08.14 08:57 -
세계 주요국 물가 상승률 순위
기준 금리와 물가는 직접 연동되는 지표이다. 따라서 주요국의 물가 지표는 기준 금리, 나아가서 각 국의 경제 상황을 짐작하게 해 주는 지표가 된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래 표는 2023년 7월 기준 세계 물가 상승률 순위를 보여 준다. 가장 낮은 물가 상승률을 보여주는 중국으로 시작해서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2.7%로 공동 4위에 올라가 있다. 그리고 바로 다음으로 캐나다와 미국이 가각 2.8%, 3%로 뒤를 따르고 있다. 가장 물가 상승률이 높은 나라는 아르헨티나로 무려 116%에 달한다. 이 정도면 국가 경제가 마비될 정도로 보여진다. CountryLastPreviousReferenceUnit China 0 0.2 Jun/23 % Switzerland 1.7 2.2 Jun/23 % ..
2023.07.27 1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