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803)
-
한국은행 금리 결정 일정
현재 한미 금리 격차 2%p 한국은행은 과연 이번에 금리를 또 동결할 수 있을까? 8월 24일 목요일 금리결정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이번에도 동결하게 되면 10월까지 2달간을 버텨야 하는데... 미국의 9월 금리결정도 있어서 마냥 버티기는 어려워 보인다. 특히 최근의 환율을 보면 상승추세를 이어가려고 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1350원을 넘어서면 전고점인 1450원대를 보러 갈 가능성이 높다.
2023.08.14 -
세계 주요국 물가 상승률 순위
기준 금리와 물가는 직접 연동되는 지표이다. 따라서 주요국의 물가 지표는 기준 금리, 나아가서 각 국의 경제 상황을 짐작하게 해 주는 지표가 된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래 표는 2023년 7월 기준 세계 물가 상승률 순위를 보여 준다. 가장 낮은 물가 상승률을 보여주는 중국으로 시작해서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2.7%로 공동 4위에 올라가 있다. 그리고 바로 다음으로 캐나다와 미국이 가각 2.8%, 3%로 뒤를 따르고 있다. 가장 물가 상승률이 높은 나라는 아르헨티나로 무려 116%에 달한다. 이 정도면 국가 경제가 마비될 정도로 보여진다. CountryLastPreviousReferenceUnit China 0 0.2 Jun/23 % Switzerland 1.7 2.2 Jun/23 % ..
2023.07.27 -
미국 기준 금리 인상! 한미 금리 격차 2%p로 벌어져...
미국 연준은 2023년 7월 연방기금 금리를 25bp 인상한 5.25%-5.5%로 인상했다. 이는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고 차입 비용을 2001년 1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으로 금리 인상으로 인한 물가 안정에 신경을 쓴 모습이다. 이는 현재의 한국 금리와 2% 나 차이가 나는 수치이다. 한국 은행은 연초에 금리를 올린 이후 지금까지 계속 동결하고 있다. 이로 인해 외화가 유출 될 것이라는 우려가 많은 것도 사실이나 지금까지는 잘 버텨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한국은행도 이 부분을 모르는 바는 아니나 현재 국내에 가계부채와 그보다 더 큰 뇌관으로 언급되는 PF 대출 문제로 인해 금리인상을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한국 은행 일자별 금리 결정을 보면 4월부터 계속 동결하여 왔고, 이제 당장 ..
2023.07.27 -
마틴 암스트롱 주기상 지금의 위치는 어디일까?
미국의 애널리스트 중에 마틴 암스트롱이라는 사람이 있다. 그는 지난 역사 속의 경제의 흥망을 분석했으며, 그 분석 속에서 하나의 규칙을 발견하게 된다. 바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경제가 발전하고 망하게 된다는 것이며, 이것은 하나의 나라의 흥망에도 적용이 된다는 것이다. 그의 이러한 이론을 들어보기를 원한다면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그의 영상을 찾아보길 바란다. 물론 그는 현재 생존해 있는 인물이다. 그의 주기 이론은 미국의 주식 챠트와 많은 부분이 닮아 있다. 심지어 이미 그려져 있는 챠트인데도 주가 챠트가 그것을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의 영상에는 많은 이야기들이 있지만 지금 이 시대와 관련이 있는 챠트에 가장 관심이 가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아래 챠트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의 ..
2023.02.12 -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일정
최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한 금리인상에 시장이 주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미국의 움직임은 우리 시장에도 직결되며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관심이 생겼다. 그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는 언제 열리는 것일까? 공식 사이트에 따르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는 매 6주마다 열린다고 한다. 따라서 매달 열리는 것도 아니고 열리는 시기도 월초가 될 수도 월 말이 될 수도 있다. 결국은 일정표를 보아야 정확한 일정을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일정표를 찾아 보았다. 글을 쓰는 시점에서 가장 근방에 열렸던 회의는 5월 3~4일이었으며, 앞으로 열릴 빠른 시기는 6월 14~15일이다. 연준은 현재 올해 남아있는 5번의 회의 동안 대부분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
2022.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