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43)
-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의 이해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은 전력 시스템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들은 전력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나타내는 지표로,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들 개념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수용률은 전력 시스템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전력 수요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수용률이 높을수록 전력 시스템이 더 많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수용률은 전력 시스템의 발전 용량과 송전 용량에 의해 결정됩니다. 발전 용량은 발전기가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의미하고, 송전 용량은 송전선이 전달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의미합니다. 발전 용량과 송전 용량 중 작은 값이 수용률이 됩니다. 수용률 = 실제 공급 전력 / 최대 공급 전력 = 최대수요전력[kW] x 10..
2024.02.14 -
전기기사 전자기학 공부방법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시험을 준비하고 계신 분들을 위해 전자기학 공부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전자기학은 전기기사 시험에서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과목 중 하나입니다. 전자기학의 기본 개념과 법칙을 잘 이해하고 문제를 풀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부방법을 추천합니다. 첫째, 전자기학의 개념과 법칙을 정리한 교재나 강의를 참고하세요. 전자기학은 많은 공식과 개념이 있기 때문에 한 번에 외우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교재나 강의를 통해 전자기학의 개념과 법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재나 강의를 선택할 때는 자신의 수준과 목표에 맞는 것을 고르세요. 너무 어렵거나 쉬운 것은 효율이 떨어집니다. 둘째, 전자기학의 문제를 많이 풀어보세요. 전자기학은 이론만 알..
2024.02.04 -
전기기사 전력공학 단절연이 뭐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력공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단절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절연이란, 전력계통에서 과전류나 과전압 등의 이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계통을 안전하게 분리하거나 복구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단절연은 보통 차단기, 퓨즈, 접지선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절연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계통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장부위를 신속하게 차단하고, 정상부위와 분리합니다. - 계통의 복구를 위해 차단된 부분을 재결합하거나, 우회경로를 제공합니다. - 계통의 보호를 위해 과전류나 과전압 등의 위험한 상황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합니다. 단절연은 전력계통의 각 부분에 적절하게 설치되어야 합니다. 단절연의 설치 위치와 개수는 계통의 구조, 용량, 부하, 고장유형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단절연의 설치와..
2024.02.02 -
전력공학 스틸(still) 식
전력공학에 스틸 식이라는 것이 있다. 이와 관련된 문제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공식을 알아야 하는 문제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문제] 전송 전력이 500 MW 이고, 송전거리가 300 km 일 때, 경제적인 송전 전압은 몇 kV 인가? 문제를 풀려면 공식을 알아야 하고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전력공학에서 Still 식은 중거리 송전선로의 경제적 송전전압을 구하는 식입니다. Still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V = K * P / (L * R) 여기서, V는 경제적 송전전압(kV) P는 송전전력(MW) L은 송전거리(km) R은 전선의 저항(Ω/km) K는 상수 Still 식은 다음과 같은 원리에 기반합니다. 송전전압이 높을수록 전력 손실이 감소합니다. 송전거리가 길수록 전력 손실이 증가합..
2023.09.19 -
송전선의 현수 애자련의 연면 섬락, 연면 섬락이 뭐지?
2010년 전기기사 필기 기출 문제 중에 연면 섬락이라는 단어가 있다. 무슨 뜻일까? 검색해 보니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왔다. 결론부터 말하면 연면이란 의미는 두개가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된 두 개의 도체 사이의 섬락이라는 의미이다. 연면섬락(連面閃絡)은 전기 설비의 두 개 이상의 도체 사이 또는 도체와 대지 사이에서 발생하는 섬락을 말합니다. 섬락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어야 할 두 개 이상의 도체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면섬락은 주로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절연물의 손상 전기 설비의 절연물이 손상되면 전류가 절연물을 통해 새어나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두 개 이상의 도체 사이 또는 도체와 대지 사이에서 섬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습도, 온도,..
2023.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