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미국주식(123)
-
이렇게까지 조정받을 줄 몰랐다! 루시드그룹 루시드모터스 마감 시황
어제 글에서 조정이 필요하다고 했었지만 제목처럼 이렇게까지 조정을 받을 줄은 몰랐습니다. 오늘 루시드그룹은 -18%가 넘는 하락을 거친 후에 반등한 것이 10% 넘는 하락 마감입니다. 그럼 챠트는 어떤 일이 있었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30분 봉에서 보면 급등 패턴으로 올라온 주가가 매도 신호 이후 그대로 추락한 모습입니다. 다만 반등하면서 매수 신호가 나와서 일단은 추가 하락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구조가 매우 망가져서 바로 급반등을 기대하기 보다는 횡보나 쌍바닥을 다지는 구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일봉을 살펴 보니 재미있는 패턴이 보였는데요, 상승 후에 2일씩 음봉조정을 주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그 이후에 추가 조정이 있었거나 바로 상승하는 모습이 있었지만 그래도 조정이 마무리되..
2021.11.19 -
급등 후에 쉬어가는 구간인가? 루시드그룹 루시드모터스 마감 시황
오랫만에 루시드그룹에 대한 마감 시황을 쓰게 되는데요, 오늘은 5% 넘는 하락을 보여 주었습니다. 그 동안의 급등에 따른 쉬어감으로 보이는데요, 챠트에서는 어떤지 살펴 보겠습니다. 일봉을 보면 급등 패턴 이후에 정말 대단한 상스을 보여 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찾아보니 마지막으로 글을 쓴 것인 급등패턴이 오고 살짝 눌렸을 때 인데요, 전고점을 넘어가면서 새로운 파동으로 한껏 발산한 모습입니다. 오늘 하락하기는 했지만 어제의 상승을 훼손하지 않았고 여전히 봉은 볼밴 상단에 걸쳐 있습니다. 추세가 살아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만 구조가 조금씩 흔들리고 있고 구간도 좋지 않은 구간으로 들어가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어느 정도 조정도 가능한 상황입니다. 60분 봉을 보면 급등패턴으로 올라온 주가가 매도 신호 이후..
2021.11.18 -
나스닥 전고점 부근에서 무너질까?
그냥 힘없이 무너질 것만 같았던 나스닥이 어느새 전고점 근처까지 올라왔다. 지난 번에 살펴 보고 한 동안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었는데 매도 신호 이후 애매한 공간에서 반등한 듯 하더니 매수 신호가 나오고 나서는 큰 걸음으로 바짝 올라와 버렸다. 그럼 나스닥은 전고점을 갱신할 것인가? 당장은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아래 일봉처럼 지난번 매도 신호가 나오기 전의 다이버젼스가 이번에도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이 지표를 그대로 믿는다면 다시 나스닥은 14000대를 깨러 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지표는 신호와 매우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데 그래서 더욱 신뢰가 가는 모양이다. 그래서 후행스팬을 기초로 앞으로의 흐름을 예상해 보았다. 전체적인 방향은 이런식으로 갈 것 같지만 이평선과 만나는 지점에서의 변수가..
2021.10.28 -
전고점까지 올라온 루시드 그룹(LCID) 장 마감 시황
한 동안 루시드그룹의 글을 쓰지 못하고 있었는데 오늘 마감 상황을 보니 그동안 많은 상승을 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오늘도 2%대 상승을 했는데요, 장 외 거래까지 하면 4%를 넘겼습니다. 지난 마감 시황에서는 매도 신호 이후 하락하는 모습을 예상했는데요, 어떤 일이 있었는지 챠트를 통해 살펴 보았습니다. 일봉을 보니 급등패턴이 들어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만큼 들어올리려는 힘이 강했다는 것인데요, 공교롭게도 급등 패턴의 조짐을 보인 것이 신호가 나온 날이었습니다. 그 후 어제 눌리고 오늘 다시 상승했습니다. 그런데 지금 위치는 또 볼밴 상단을 뚫고 위꼬리를 길게 단 모습입니다. 따라서 계속 상승할지 판단이 어려운 자리인데요, 전고점을 거의 갱신할 뻔한 상황이기 때문에 그것도 중요한 포인트..
2021.10.28 -
볼밴 상단까지 달려가나? 루시드그룹 마감시황 분석
루시드그룹은 5% 넘는 상승을 보여 주면서 지난 마감 시황에서 예상한 흐름을 보여주었습니다. 지금은 자세를 제대로 잡고 올리고 있어서 하루 더 상승하는 것은 당연해 보입니다. 이런 상승의 원인은 지난 번 언급했던 횡보 구간의 응집된 힘과 급등패턴의 힘이 합쳐진 것 때문으로 보입니다. 이제 다시 매도 신호가 나오기 전이지만 지금 기세라면 한 번 더 급등 패턴이 나올 가능성이 높고 혹시 쉬어간다고 하더라도 이번처럼 횡보하다가 올라가는 흐름이 예상됩니다.
2021.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