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공지능으로 그림을 그려주는 사이트 2 이전에 인공지능으로 그램을 그려주는 사이트에 대해서 소개해 드린 적이 있는데요, 이번에는 다른 종류의 그림을 그려주는 사이트가 있어서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인공지능 사용하여 자동으로 그림 그려주는 사이트 인공지능 정보를 찾아보다가 재미있는 사이트를 알게되어 소개해 드립니다. 아래 그림은 해당 사이트를 이용하여 그린 그림입니다. 이 사이트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사이트로 aitown.tistory.com 바로 앤비디아(NVIDIA)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입니다. 지난 번에 소개해 드린 사이트에서는 간단한 그림의 패턴을 찾아서 저장되어 있는 아이콘을 불러와 그려주는 사이트였다면 이번에는 조금 더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패턴을 인식하여 자연 풍경을 그려주는 .. 더보기 인공지능 예측에 사용되는 함수 케라스 keras 가 뭐지? 최근 유튜브나 블로그 글에 보면 인공지을 위해 필요한 텐서플로우와 함께 자주 등장하는 이름이 바로 케라스입니다. 그럼 케라스가 무엇일까요? 아니 뭐하는 함수? 프로그램일까요? 한 번 알아보았습니다. 구글에 'keras'라고 검색하면 바로 케라스 홈페이지가 상단에 검색되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물론 영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글로 번역해서 보시면 좀 쉬운데요, 그래도 간단히 뭐하는 건지만 보실려면 계속 글을 보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글이나 설명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ㅋㅋ 케라스 소개를 보면 케라스는 기계 학습 플랫폼인 텐서플로우 위에서 실행되는 파이썬으로 작성된 딥러닝을 위한 API라고 되어 있습니다. 즉 딥러딩을 쉽게 도와주는 그것도 텐서플로우를 사용할 때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이.. 더보기 인공지능을 언급할 때 꼭 나오는 텐서플로우가 뭐지? 인공지능을 언급할 때 꼭 나오는 단어가 있다. 바로 텐서플로우인데 영어로는 'TensorFlow'라고 하는 단어이다. 이 단어가 무슨 뜻인지 궁금해서 찾아보았다. 소개말을 보니 '데이터 플로우 그래프를 사용하여 수치연산을 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라고 되어 있는데, 무슨 뜻인지 보니 데이터들이 있으면 단순히 일차원적인 숫치가 아닌 여러가지 숫자들로 되어 있고 이 숫자들은 그 성격에 따라 종류별로 구분하면 여러종류의 꾸러미 즉 수학용어로 '다차원의 배열'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 다차원 배열을 '텐서(tensor)'라고 부르고 이 텐서의 흐름을 가지고 연산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둔 일종의 함수들의 모음 즉, 연산 공식들을 모아서 프로그램에 쓰기 편하게 만들어 둔 것이 텐서플로우라고 이해.. 더보기 파이썬 프로그램이 뭐지? 파이썬이라는 말을 들어본 기억이 있다, 프로그램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이썬은 그만큼 우리에게 가까이에 있다. 실제로 아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프로그램 언어 순위가 작년 4위에서 올래 3위로 올라섰다. C++ 언어를 앞질렀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사람이 파이썬을 사용한다는 것이므로 그 성장성이 대단하다. 아마도 최근 늘어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도 한 몫을 했을 거라고 생각된다. 파이썬은 1991년에 발표된 인터프리터 방식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창시자는 창시자는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으로 네덜란드 사람이라고 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1989년 크리스마스 주에, 연구실이 닫혀있어서 심심해서 만든 프로그램이라는데 그러기에는 정말 대단한 프로그램인 것 같다. (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