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공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력 공학 필기 시험 역률 개선 의미와 예제 풀이 전력공학에서 역률개선은 전력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전력 손실을 줄이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역률이란 전압과 전류 사이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상적인 상황에서는 역률이 1에 가까워야 합니다. 이는 전압과 전류가 동일한 위상을 가지며, 전력 시스템이 최대의 효율로 작동함을 의미합니다. 역률이 낮다는 것은 시스템에 무효전력이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추가적인 전력 손실과 전기 설비에 대한 부담을 증가시킵니다. 역률을 개선하기 위해, 보통 콘덴서나 리액터와 같은 역률 개선 장치를 사용하여 무효전력을 줄이고 전력 시스템의 효율을 높입니다. 예를 들어, 역률이 0.8이고 출력이 320kW인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변전소에 역률 개선을 위해 전력용 콘덴서 140kVA를 설치했을 때, 합성역률은 .. 더보기 조상설비의 종류(동기조상기, 전력용콘덴서, 분로리액터) 이번 시간에는 조상설비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상설비란 전력계통에서 발전소와 소비자 사이에 설치되는 장치로, 송전선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무효전력을 공급하여 일정 전압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여, 전력의 품질을 개선하거나 계통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조상설비의 종류에는 동기조상기, 전력용콘덴서, 분로리액터 등이 있습니다. 동기조상기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교류전력을 동기전동기로 변환하여 다시 교류발전기로 되돌리는 장치입니다. 이때, 동기 전동기를 무부하로 운전하고, 계자 전류의 조정을 통해 진상 또는 지상의 무효 전력을 조정하여 역률을 조정합니다 . 동기 조상기는 부하와 병렬로 연결되며, 전력선로의 전압조정 및 역율개선에 사용됩니다. 동기 조상기는 위상특성곡선 (V.. 더보기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의 이해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은 전력 시스템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들은 전력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나타내는 지표로,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들 개념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수용률은 전력 시스템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전력 수요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수용률이 높을수록 전력 시스템이 더 많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수용률은 전력 시스템의 발전 용량과 송전 용량에 의해 결정됩니다. 발전 용량은 발전기가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의미하고, 송전 용량은 송전선이 전달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의미합니다. 발전 용량과 송전 용량 중 작은 값이 수용률이 됩니다. 수용률 = 실제 공급 전력 / 최대 공급 전력 = 최대수요전력[kW] x 10.. 더보기 전력공학 스틸(still) 식 전력공학에 스틸 식이라는 것이 있다. 이와 관련된 문제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공식을 알아야 하는 문제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문제] 전송 전력이 500 MW 이고, 송전거리가 300 km 일 때, 경제적인 송전 전압은 몇 kV 인가? 문제를 풀려면 공식을 알아야 하고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전력공학에서 Still 식은 중거리 송전선로의 경제적 송전전압을 구하는 식입니다. Still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V = K * P / (L * R) 여기서, V는 경제적 송전전압(kV) P는 송전전력(MW) L은 송전거리(km) R은 전선의 저항(Ω/km) K는 상수 Still 식은 다음과 같은 원리에 기반합니다. 송전전압이 높을수록 전력 손실이 감소합니다. 송전거리가 길수록 전력 손실이 증가합..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