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전기기사 실기 출제 경향
1. 2025년 1회차 실기 시험 특징
- 난이도: 전반적으로 높은 난이도를 보였으며, 특히 신출 문제(7문제 중 5문제) 가 KC(한국전기설비규정) 관련 문제로 다수 출제되어 수험생들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1.
- 출제 유형:
- KC 규정 문제: 기존에 전기기사 실기에서 출제된 적 없는 KC 관련 문제가 다수 등장.
- 전기기기 계산 문제: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단권변압기 특징 등 기출 유형 문제와 함께 직류기/유도전동기 속도 제어 문제가 출제.
- 감리 문제: 방대한 범위로 인해 맞추기 어려운 감리 관련 문제가 신규로 출제.
2. 주요 출제 패턴
- 전기기기: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단권변압기 자기 용량 계산, IGBT/GTO 소자 특성 문제가 핵심.
- 전기설비: 접지공사(저항값, 굵기), 가공전선로 시설기준, 케이블 매설 기준 등 KEC 규정 중심.
- 전기산업기사 기출 유사 문제: 전기기사 실기에 전기산업기사 기출 문제가 다수 혼재되어 수험생들이 신출 문제로 오인한 경우 발생.
3. 수험 전략
- KC 규정 집중 학습: 최신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세부 조항(접지, 전선로 시설 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리.
- 전기산업기사 기출 확대: 전기기사 실기에서 전기산업기사 기출 문제가 출제되는 경향을 고려해 병행 학습 필요.
- 실전 문제풀이: 계산 문제보다는 규정 해석 및 적용 능력을 키우기 위해 기출문제와 유사한 서술형 문제를 반복 연습.
4. 향후 전망
- 신유형 출제 지속: 기존 기출 범위를 벗어난 KC 규정 및 감리 문제의 비중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음.
- 실무 적용 문제 강화: 이론적 지식보다 현장 감리, 설비 점검 등 실무적용 문제가 강조되는 추세.
이러한 경향을 반영해 KC 규정 정복과 전기산업기사 기출 병행 학습이 합격의 핵심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2025년 전기기사 실기 시험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
2025년 1회 전기기사 실기 시험에서 수험생들이 가장 어렵게 느낀 문제는 기존 기출에서 보기 힘들었던 KC(한국전기설비규정) 관련 신출 문제와 감리(설계 변경 및 계약 금액 조정) 문제였습니다.
1. KC 규정 신출 문제
- 이번 시험에서 신유형 7문제 중 5문제가 KC 규정에서 출제되었습니다.
- 특히, 표준 전압/주파수 허용, 특고압 가공전선 저고, 가공전선 이격거리, 전력변환장치 시설, 비상용 예비전원 설비 전환 시간, 가공전선과 약전류 전선 간격 등은 이전 전기기사 실기에서 출제된 적이 거의 없는 유형이었습니다2.
- 많은 수험생들이 "관연도만 열심히 공부한 사람들은 전혀 본 적 없는 문제"라고 평가할 정도로 체감 난이도가 높았습니다12.
2. 감리 문제
- 감리(설계 변경 및 계약 금액 조정) 관련 문제도 등장했는데, 이 역시 범위가 방대하고 암기할 내용이 많아 맞추기 매우 어려운 문제로 꼽혔습니다2.
- 실제로 강사들도 "감리 문제는 거의 못 맞추셨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3. 전기산업기사 기출 문제
- 일부 문제는 전기산업기사에서 자주 출제되던 유형이 전기기사 실기에 등장해, 전기기사 기출만 준비한 수험생들에게는 신출 문제처럼 느껴졌습니다1.
- 이로 인해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 문제가 바뀐 것 아니냐"는 반응도 있었습니다.
수험생 체감
- 실제 퇴실 직후 투표에서 응답자의 44%가 합격률이 한 자릿수(10% 이하)일 것이라고 답할 정도로 난이도가 높았다고 평가되었습니다1.
- 기존 계산 문제보다도 규정 해석 및 실무 적용 능력을 묻는 문제가 압도적으로 어려웠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입니다2.
요약:
2025년 전기기사 실기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는 KC 규정 신출 문제(특히 표준 전압/주파수, 가공전선 기준 등)와 감리(설계 변경 및 계약 금액 조정) 문제였습니다. 이들은 기존 기출에 없던 유형으로, 많은 수험생이 정답을 맞히기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2.
단답형 문항 대비 방안
단답형 문제 비중이 높아진 상황에서는 단순 암기를 넘어서, 빠르게 기억을 불러내고 응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전략을 단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암기 대상 정리와 우선순위화
- 최근 5~7개년 기출문제를 분석해서 반복 출제된 개념과 단답형 키워드를 리스트업합니다.
- 출제 빈도에 따라 ★★★~★로 우선순위를 부여합니다.
- 예를 들어,
-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
- 단권변압기의 특징 (★★★)
- 직류기의 기동법 (★★)
- IGBT 특징 (★★)
👉 이렇게 우선순위 높은 것부터 집중합니다.
2단계: 키워드 기반 초압축 노트 만들기
- 키워드 중심으로 내용을 10자 이내로 압축합니다.
- 예시:
- 변압기 병렬운전: "극성일치, 전압비일치금지, %임피던스"
- IGBT: "MOSFET+BJT 장점결합, 스위칭+고전압"
👉 이걸 A6 사이즈 메모지나 암기 카드에 정리하면 좋습니다.
3단계: '회독+자기 테스트' 반복
- 노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기 → 즉시 덮고 외워쓰기 시도.
- 틀린 부분은 노트에 표시하고 다시 읽기.
- 3회 반복 후에도 기억 안 나면, 키워드를 더 줄이거나 그림, 연상 단어를 추가합니다.
4단계: 구조화된 암기 - 분류 학습
- 관련 개념을 묶어서 암기합니다.
- 예를 들면:
- "변압기" 그룹: 병렬운전 조건, 단권변압기 특징, 냉각방식 종류
- "전력전자" 그룹: SCR, TRIAC, IGBT 특징
👉 이렇게 하면 시험장에서 묶음으로 기억나게 됩니다.
5단계: 모의시험 방식의 스파르타 테스트
- 5분 타이머를 설정하고, 랜덤으로 문제를 뽑아 답을 써봅니다.
- 답이 5초 안에 생각나지 않으면 '모름' 체크하고 넘어갑니다.
- 5분 후 '모름' 항목만 다시 복습.
👉 이 방법은 실전에서 빠르게 답을 꺼내는 훈련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 추가로 추천하는 암기 보조 도구
도구 | 특징 | 추천 사용법 |
Anki 앱 | spaced repetition 시스템 | 단답형 플래시카드 만들기 |
뇌새김 수첩 | 빠른 회독에 특화 | 직접 써보며 반복 학습 |
Quizlet | 자동화 플래시카드 생성 | PC, 모바일 동기화 가능 |
요약
우선순위 설정 → 키워드 초압축 → 회독+테스트 반복 → 개념 묶기 → 타임어택 연습
이 흐름을 2~3주만 꾸준히 해도 단답형 대응력이 급상승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 > 전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전기 기사 시험 일정 (1) | 2025.04.13 |
---|---|
2025년 기사 자격증 필기 접수 유의 사항 (0) | 2025.01.10 |
2025년 바뀌는 전기기사 시험 및 준비 방법 (0) | 2024.11.18 |
고장 계산 - 단락, 옴법, %임피던스법, 대칭좌표법 (1) (0) | 2024.06.10 |
전기기사 제어공학 회로 제어계 구성요소 (0) | 2024.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