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프로그래밍/MS Azure

Azure 104 연습 문제 13

반응형

문제 96:

Azure 구독에 'storage one'이라는 저장소 계정이 있습니다.

이 저장소 계정에는 다음과 같은 수명 주기 관리 규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규칙 이름 기준 작업
규칙 1 container1 3일 초과 보관 스토리지로 이동
규칙 2 (적용 안 함) 5일 초과 쿨 스토리지로 이동
규칙 3 container2 10일 초과 Blob 삭제
규칙 4 container2 15일 초과 보관 스토리지로 이동

6월 1일에 'storage one'에 다음과 같은 두 개의 Blob 파일을 저장했습니다.

파일 이름위치 (컨테이너)액세스 계층

file1 container1
file2 container2

다음 설명이 맞는지 틀린지 선택하세요.

  1. 6월 6일에 file1은 쿨 액세스 계층에 저장됩니다. (예/아니요)
  2. 6월 1일에 file2는 쿨 액세스 계층에 저장됩니다. (예/아니요)
  3. 6월 16일에 file2는 보관 액세스 계층에 저장됩니다. (예/아니요)

보기:

제공된 질문 자체가 예/아니요를 선택하는 보기입니다.

정답:

  1. 아니요
  2. 아니요
  3. 아니요

해설:

  • Azure 구독: Azure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여러분의 계정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마치 스마트폰 요금제처럼, Azure의 여러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 저장소 계정: 여러분의 파일이나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보관하는 창고 같은 곳이에요. 'storage one'이 바로 이 창고 이름입니다.
  • 수명 주기 관리 규칙: 저장된 데이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동으로 어떻게 관리될지를 정하는 규칙입니다. 예를 들어, 자주 쓰는 파일은 빨리 접근할 수 있는 곳에 두고, 잘 안 쓰는 파일은 더 깊숙한 곳에 보관하는 것처럼요.
  • Blob: Azure 저장소에 저장되는 파일 형태의 데이터입니다. 사진, 문서, 동영상 등 다양한 파일을 Blob이라고 부를 수 있어요.
  • Blob 접두사: 규칙을 적용할 Blob 파일 이름의 시작 부분입니다. 'container1'으로 시작하는 파일에 규칙 1이 적용되는 식이죠.
  • 기준 Blob 수정일: 파일이 마지막으로 변경된 날짜를 기준으로 규칙이 적용되는 시점을 정합니다. '3일 초과'는 파일이 수정된 지 3일이 넘으면 규칙이 적용된다는 뜻이에요.
  • 핫 액세스 계층: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 접근 속도가 빠르지만 비용이 비싼 편입니다. 마치 책상 위에 자주 보는 책을 놓는 것과 같아요.
  • 쿨 액세스 계층: 자주 사용하지 않지만 필요할 때 접근해야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 핫 계층보다 비용이 저렴하지만 접근 속도가 느립니다. 마치 책꽂이에 가끔 보는 책을 꽂아두는 것과 같아요. 데이터는 최소 30일 동안 보관해야 합니다.
  • 보관 스토리지 (Archive 스토리지): 아주 오랫동안 거의 접근하지 않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저렴한 곳이지만, 데이터를 다시 꺼내오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마치 창고 깊숙이 보관하는 물건과 같아요. 데이터는 최소 180일 동안 보관해야 합니다.
  • 삭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지우는 것입니다.

각 질문에 대한 설명:

  1. 6월 6일에 file1은 쿨 액세스 계층에 저장됩니다. (아니요)
    • file1은 'container1'에 있고, 규칙 1에 따라 수정 후 3일이 지나면 보관 스토리지로 이동합니다. 6월 1일에 저장되었으므로 6월 4일 이후에 보관 스토리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6월 6일에는 쿨 액세스 계층이 아닌 보관 스토리지에 있습니다.
  2. 6월 1일에 file2는 쿨 액세스 계층에 저장됩니다. (아니요)
    • file2는 6월 1일에 '핫' 액세스 계층에 저장되었습니다. 'container2'에 있는 파일에는 규칙 3과 4가 적용되는데, 각각 10일과 15일이 지나야 작동합니다. 따라서 6월 1일에는 쿨 액세스 계층으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3. 6월 16일에 file2는 보관 액세스 계층에 저장됩니다. (아니요)
    • 'container2'에 있는 file2에는 규칙 3에 따라 저장 후 10일이 지나면 삭제되는 규칙이 있습니다. 따라서 6월 1일에 저장된 file2는 6월 11일 이후에 삭제됩니다. 규칙 4에 따라 15일 후에 보관 스토리지로 이동하는 규칙도 있지만, 규칙 3에 의해 먼저 삭제되므로 보관 스토리지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문제 97:

'contoso.com'이라는 등록된 DNS 이름이 있습니다. 'contoso.com'이라는 공용 Azure DNS 영역을 만들었습니다. 인터넷에서 'contoso.com' 영역에 생성된 레코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보기:

  • A. contoso.com에 NS 레코드 생성
  • B. DNS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SOA 레코드 수정
  • C. contoso.com에 SOA 레코드 생성
  • D. DNS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NS 레코드 수정

정답:

  • D. DNS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NS 레코드 수정

해설:

  • DNS 이름 (Domain Name): 웹사이트 주소처럼 인터넷에서 컴퓨터나 서비스를 식별하는 이름입니다. 'contoso.com'이 회사의 웹사이트 주소라고 생각하면 돼요.
  • Azure DNS 영역 (Azure DNS Zone): Azure에서 DNS 레코드를 관리하는 곳입니다. 마치 학교 게시판처럼, 웹사이트 주소와 실제 서버 주소 간의 연결 정보를 기록해두는 곳이에요.
  • DNS 레코드: 웹사이트 주소와 IP 주소와 같은 정보를 연결해주는 기록입니다. 예를 들어, 'contoso.com'이라는 주소로 접속하면 어떤 IP 주소의 컴퓨터로 연결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정보입니다.
  • NS 레코드 (Name Server Record): 해당 DNS 영역을 관리하는 서버의 정보를 담고 있는 레코드입니다. 'contoso.com' DNS 영역을 관리하는 Azure의 네임서버 주소를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 SOA 레코드 (Start of Authority Record): DNS 영역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관리자 이메일 주소, 영역 업데이트 정보 등)를 담고 있는 레코드입니다.
  • DNS 도메인 등록 기관 (DNS Domain Registrar): 인터넷 주소(도메인 이름)를 판매하고 관리하는 회사입니다. 'contoso.com'이라는 주소를 처음 구매한 곳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인터넷에서 'contoso.com' 영역의 정보를 찾을 수 있게 하려면, 여러분이 'contoso.com' 도메인을 등록한 곳(DNS 도메인 등록 기관)에 Azure DNS 영역의 네임서버 정보를 알려줘야 합니다. 그래야 인터넷 사용자들이 'contoso.com'으로 접속했을 때 Azure DNS 서버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DNS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NS 레코드를 수정하여 Azure DNS 서버를 가리키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문제 98:

'web app 1'이라는 웹앱을 포함하는 Azure 구독이 있습니다.

'www.contoso.com'이라는 사용자 지정 도메인 이름을 'web app 1'에 추가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할까요?

보기:

  • A. DNS 레코드 생성
  • B. 연결 문자열 추가
  • C. 인증서 업로드
  • D. web app 1 중지

 

정답:

  • A. DNS 레코드 생성

해설:

  • 웹앱 (Web App): 웹사이트나 웹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Azure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여러분이 인터넷에서 접속하는 많은 웹사이트들이 웹앱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하면 돼요. 'web app 1'은 여러분의 웹사이트 이름입니다.
  • 사용자 지정 도메인 이름: 기본으로 제공되는 웹앱 주소 대신 여러분이 원하는 멋진 웹사이트 주소입니다. 'www.contoso.com'처럼 여러분 회사의 이름이 들어간 주소를 사용하는 것이죠.
  • DNS 레코드: 위 문제 97에서 설명했듯이, 웹사이트 주소와 실제 서버 주소를 연결해주는 정보입니다.

여러분의 웹앱에 'www.contoso.com'이라는 사용자 지정 도메인 이름을 연결하려면,

먼저 이 도메인 이름이 실제로 여러분의 웹앱을 가리키도록 DNS 레코드를 만들어야 합니다.

인터넷이 'www.contoso.com'으로 접속했을 때 여러분의 'web app 1' 서버를 찾을 수 있도록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따라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DNS 레코드 생성입니다.

 

 


문제 99:

Azure Active Directory Premium에 가입했고, Azure AD Domain에 가입할 모든 컴퓨터에서 'admin1@contoso.com' 사용자를 관리자로 추가해야 합니다. Azure AD에서 무엇을 구성해야 할까요?

보기:

  • A. 장치 블레이드의 장치 설정
  • B. MFA 서버 블레이드의 공급자
  • C. 사용자 블레이드의 사용자 설정
  • D. 그룹 블레이드의 일반 설정

 

 

정답:

  • A. 장치 블레이드의 장치 설정

해설:

  • Azure Active Directory (Azure AD): 회사나 학교의 사용자 계정과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누가 어떤 컴퓨터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지 등을 관리하는 학교의 학생 관리 시스템과 비슷해요.
  • Azure AD Domain: Azure에서 제공하는 도메인 서비스로, 회사 네트워크처럼 컴퓨터들을 관리하고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학교 컴퓨터실의 컴퓨터들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시스템과 비슷해요.
  • 관리자: 컴퓨터나 시스템을 관리하고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입니다. 학교 컴퓨터실 선생님처럼 컴퓨터를 설치하고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 장치 설정: Azure AD에 등록된 컴퓨터와 관련된 여러 설정을 관리하는 곳입니다. 어떤 사용자가 컴퓨터에 관리자 권한을 가질 수 있는지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Azure AD Domain에 가입할 모든 컴퓨터에서 특정 사용자('admin1@contoso.com')를 관리자로 설정하려면,

Azure AD의 장치 설정에서 해당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해당 사용자가 모든 가입된 컴퓨터에서 관리자 권한을 갖게 됩니다.

 

 


문제 100:

'template one'이라는 배포 템플릿을 사용하여 100개의 Azure 웹앱을 배포하려고 합니다.

템플릿을 배포하기 전에 무엇을 배포해야 Azure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까요?

보기:

  • A. 5개의 Azure Application Gateway
  • B. 1개의 App Service Plan
  • C. 10개의 App Service Plan
  • D. 1개의 Azure Traffic Manager
  • E. 1개의 Azure Application Gateway

 

정답:

  • B. 1개의 App Service Plan

해설:

  • 배포 템플릿: Azure에서 여러 개의 서비스나 설정을 한 번에 자동으로 만들고 구성하기 위한 설명서 같은 파일입니다. 레고 블록 설명서처럼, 정해진 순서와 방식대로 Azure 서비스를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template one'은 100개의 웹앱을 만들기 위한 설명서입니다.
  • Azure 웹앱: 위 문제 98에서 설명했듯이, 웹사이트나 웹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Azure 서비스입니다.
  • Azure Application Gateway: 웹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을 관리하고 보안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웹사이트로 들어오는 손님들을 안내하고 위험한 손님을 막는 문지기와 같아요.
  • App Service Plan: 웹앱이 실행될 서버의 크기, 성능, 제공되는 기능 등을 결정하는 계획입니다. 마치 웹사이트를 운영할 컴퓨터의 사양(CPU, 메모리 등)과 운영 체제, 기본 프로그램 등을 선택하는 것과 같습니다. 하나의 App Service Plan으로 여러 개의 웹앱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Azure Traffic Manager: 여러 지역에 있는 웹앱으로 트래픽을 분산시켜 웹사이트의 가용성을 높이는 서비스입니다. 웹사이트 접속자가 몰릴 때 여러 개의 웹사이트 서버로 나눠서 접속하게 해주는 교통 정리 경찰과 같아요.

Azure에서 웹앱을 배포하려면 App Service Plan이 필요합니다. 하나의 App Service Plan으로 여러 개의 웹앱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100개의 웹앱을 배포하면서 비용을 최소화하려면 하나의 App Service Plan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Application Gateway나 Traffic Manager는 웹앱의 트래픽 관리나 가용성을 위한 서비스이지만, 웹앱 실행 자체에는 필수가 아니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인공지능,프로그래밍 > MS 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104 연습 문제 15  (0) 2025.04.16
Azure 104 연습 문제 14  (0) 2025.04.15
Azure 104 연습 문제 12  (1) 2025.04.15
Azure Storage redundancy(중복성)  (0) 2025.04.15
Azure 104 연습 문제 11  (1)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