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프로그래밍/MS Azure

Azure 104 연습 문제 10

반응형

문제 76

가상 머신을 여러 개 배포하기 위해 Azure Resource Manager (ARM) 템플릿을 다운로드했습니다.

이 ARM 템플릿은 현재 가상 머신을 기반으로 하지만,

관리자 비밀번호를 참조하도록 수정해야 합니다.

비밀번호가 일반 텍스트로 저장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를 만들려고 합니다. 다음 중 어떤 것을 만들어야 할까요?

보기:

A. Azure Key Vault

B. Azure Storage Account

C. Azure Active Directory Identity Protection

D. Azure Access Policy

E. Azure Backup Policy

정답: A, D

해설:

정답은 A. Azure Key VaultD. Azure Access Policy입니다.

비밀번호와 같은 중요한 정보는 안전하게 보관해야 하므로 Azure Key Vault를 사용하여 암호화하여 저장합니다.

Azure Access Policy는 누가 이 Key Vault에 접근할 수 있는지 권한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마치 중요한 물건을 금고에 넣고, 그 금고를 열 수 있는 사람을 정하는 것과 같습니다.

  • Azure Resource Manager (ARM) 템플릿: Azure에서 여러 개의 서비스들을 한 번에 자동으로 만들고 설정하기 위한 일종의 설계도입니다. [출처 없음 - 일반적인 개념 설명]
  • 가상 머신 (Virtual Machine):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행되는 여러분의 컴퓨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출처 없음 - 일반적인 개념 설명]
  • 일반 텍스트 (Plain Text): 암호화되지 않은 평범한 글자를 의미합니다. 비밀번호를 일반 텍스트로 저장하면 다른 사람이 쉽게 볼 수 있어서 위험합니다. [출처 없음 - 일반적인 개념 설명]
  • Azure Key Vault: 비밀번호, 암호 키와 같은 중요한 정보들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관리하는 Azure 서비스입니다. 마치 디지털 금고와 같습니다.
  • Azure Access Policy: 누가 Azure Key Vault에 접근해서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지 권한을 관리하는 규칙입니다.
  • Azure Storage Account: 파일을 저장하는 온라인 저장소 '집'입니다.
  • Azure Active Directory Identity Protection: 사용자의 계정을 보호하고 보안 위험을 감지하는 서비스입니다.
  • Azure Backup Policy: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복사해서 안전한 곳에 보관하는 규칙입니다.

 


문제 77

귀사의 조직은 웹 서버로 구성된 여러 Azure 가상 머신과 td1이라는 Azure 공용 부하 분산 장치를 배포했습니다.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항상 동일한 웹 서버로 요청이 라우팅되어야 합니다.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요?

보기:

A. 해시 기반 (Hash based)

B. 세션 지속성 없음 (None)

C. 세션 지속성 - 클라이언트 IP (Session persistence - Client IP)

D. 상태 프로브 (Health probe)

정답: C

해설:

정답은 **C. 세션 지속성 - 클라이언트 IP (Session persistence - Client IP)**입니다.

**공용 부하 분산 장치 (Public Load Balancer)**는 인터넷 트래픽을 여러 가상 머신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세션 지속성 (Session Persistence)**을 클라이언트 IP로 설정하면,

동일한 IP 주소에서 오는 사용자의 요청은 항상 동일한 웹 서버로 전달됩니다.

마치 단골손님은 항상 같은 식당 종업원이 담당하도록 하는 것과 같습니다.


Azure Load Balancer는 백엔드 풀의 인스턴스에 대한 연결을 라우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배포 모드를 지원합니다.

분배모드 해시 기반 세션지속성 : 클라이언트 IP 세션지속성 : 클라이언트 IP 및 프로토콜
개요 백엔드 풀의
모든 정상 인스턴스로
라우팅되는 동일한
클라이언트 IP의
트래픽
동일한 클라이언트 IP의
트래픽은 동일한
백엔드 인스턴스로
라우팅됩니다.
동일한 클라이언트 IP
및 프로토콜의 트래픽은
동일한 백엔드 인스턴스로
라우팅됩니다.
튜플 5튜플 두 개의 튜플 3튜플
Azure Portal 구성 세션 지속성: 없음 세션 지속성: 클라이언트 IP 세션 지속성: 클라이언트 IP 및 프로토콜
REST API "loadDistribution":"Default" "loadDistribution":SourceIP "loadDistribution":SourceIPProtocol

로드 밸런서에서 한 배포 모드에서 다른 배포 모드로 전환할 때 가동 중지 시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세션 지속성

세션 지속성은 세션 어피니티, 소스 IP 어피니티 또는 클라이언트 IP 어피니티라고도 합니다. 이 분산 모드는 2튜플(소스 IP와 대상 IP) 또는 3튜플(소스 IP, 대상 IP, 프로토콜 유형) 해시를 사용하여 백엔드 인스턴스로 라우팅합니다. 세션 지속성을 사용하면 동일한 클라이언트의 연결은 백엔드 풀 내의 동일한 백엔드 인스턴스로 이동합니다.

세션 지속성 모드에는 두 가지 구성 유형이 있습니다.

  • 클라이언트 IP(2-튜플) - 동일한 클라이언트 IP 주소에서 오는 연속적인 요청이 동일한 백엔드 인스턴스에서 처리되도록 지정합니다.
  • 클라이언트 IP 및 프로토콜(3-튜플) - 동일한 클라이언트 IP 주소와 프로토콜 조합에서 오는 연속적인 요청이 동일한 백엔드 인스턴스에서 처리되도록 지정합니다.

다음 그림은 2-튜플 구성을 보여줍니다. 2-튜플이 로드 밸런서를 통해 가상 머신 1(VM1)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세요. VM1은 VM2와 VM3에 의해 백업됩니다.

클라이언트 IP 및 프로토콜을 사용한 소스 IP 선호도(소스 IP 선호도 3튜플)는 Azure Load Balancer와 원격 데스크톱 게이트웨이(RD 게이트웨이) 간의 비호환성을 해결합니다.

또 다른 사용 사례는 미디어 업로드입니다. 데이터 업로드는 UDP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제어 플레인은 TCP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 클라이언트는 부하 분산된 공용 주소로 TCP 세션을 시작하고 특정 DIP로 연결됩니다.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채널은 활성 상태로 유지됩니다.
  • 동일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동일한 부하 분산된 공용 엔드포인트로 새로운 UDP 세션이 시작됩니다. 연결은 이전 TCP 연결과 동일한 DIP 엔드포인트로 전달됩니다. TCP를 통한 제어 채널을 유지하면서 높은 처리량으로 미디어 업로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메모 : 

  가상 머신을 제거하거나 추가하여 로드 밸런서 백엔드 풀 멤버가 변경되면

  클라이언트 요청 분산이 다시 계산됩니다.

  기존 클라이언트의 새 연결이 동일한 서버에 연결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소스 IP 선호도 분산 모드를 사용하면 트래픽이 고르지 않게 분산될 수 있습니다.

  프록시 뒤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는 하나의 고유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 Azure 가상 머신 (Azure Virtual Machines): 클라우드 상에서 운영되는 가상의 컴퓨터입니다.
  • Azure 공용 부하 분산 장치 (Azure Public Load Balancer): 인터넷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을 여러 서버에 나누어 처리하여 웹사이트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 라우팅 (Routing):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 세션 지속성 (Session Persistence): 특정 사용자의 요청을 계속해서 동일한 서버로 보내도록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 클라이언트 IP: 인터넷에 연결된 각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등)에 부여되는 고유한 주소입니다.
  • 해시 기반 (Hash based): 여러 요소를 조합하여 서버를 선택하는 방식입니다.
  • 상태 프로브 (Health probe): 각 서버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정상적인 서버에만 트래픽을 보내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문제 78

image1이라는 Docker 이미지를 사용하는 container1이라는 Azure Container Instance를 만들려고 합니다.

container1에 영구적인 저장소를 확보해야 합니다.

어떤 Azure 리소스를 배포해야 할까요?

보기:

A. Azure Container Registry

B. Azure Storage Account 및 파일 공유 (Azure Storage Account and File Share)

C. Azure Storage Account 및 Blob 컨테이너 (Azure Storage Account and Blob Container)

D. Azure SQL Database

정답: B

해설:

정답은 **B. Azure Storage Account 및 파일 공유 (Azure Storage Account and File Share)**입니다.

**Azure Container Instance (ACI)**는 Docker 컨테이너를 서버 없이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컨테이너 내부의 일반적인 저장소는 컨테이너가 사라지면 함께 사라지기 때문에,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관하려면 Azure Storage Account의 **파일 공유 (File Share)**를 사용해야 합니다.

마치 이동식 저장 장치(USB)를 컴퓨터에 연결해서 파일을 저장하는 것과 같습니다.

  • Azure Container Instance (ACI):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Docker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는 Azure 서비스입니다.
  • Docker 이미지 (Docker Image):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파일과 설정이 담겨 있는 템플릿입니다.
  • 컨테이너 (Container):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담고 있는 격리된 공간입니다.
  • 영구적인 저장소 (Persistent Storage): 컨테이너가 종료되거나 다시 시작되더라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저장 공간입니다.
  • Azure Storage Account: 파일을 저장하는 온라인 저장소 '집'입니다.
  • 파일 공유 (File Share):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하여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폴더입니다.
  • Blob 컨테이너 (Blob Container): 이미지, 비디오 등 대용량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 Azure Container Registry: Docker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비스입니다.
  • Azure SQL Database: 클라우드 기반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문제 79

app1이라는 앱이 BM1과 bm2라는 두 개의 가상 머신에서 실행됩니다.

app1에 대한 Azure 가용성 집합을 구현하려고 합니다.

하드웨어 유지 관리 중에도 app1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가용성 집합에 무엇을 포함해야 할까요?

보기:

A. 1개의 업데이트 도메인 (One update domain)

B. 2개의 장애 도메인 (Two fault domains)

C. 1개의 장애 도메인 (One fault domain)

D. 2개의 업데이트 도메인 (Two update domains)

정답: D

해설:

정답은 **D. 2개의 업데이트 도메인 (Two update domains)**입니다.

**Azure 가용성 집합 (Availability Set)**은 가상 머신을 여러 **업데이트 도메인 (Update Domain)**과

**장애 도메인 (Fault Domain)**에 분산시켜 하드웨어 장애나 계획된 유지 관리 중에도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업데이트 도메인은 동시에 재부팅될 수 있는 가상 머신의 그룹이며,

계획된 유지 관리 시 한 번에 하나의 업데이트 도메인만 업데이트됩니다.

따라서 두 개의 업데이트 도메인을 사용하면 유지 관리 중에도

적어도 하나의 가상 머신은 계속 작동하여 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zure 가용성 집합 (Availability Set): 여러 개의 가상 머신을 논리적으로 그룹화하여 하드웨어 장애 및 계획된 유지 관리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는 기능입니다.
  • 업데이트 도메인 (Update Domain): 계획된 Azure 플랫폼 업데이트(예: 서버 재부팅)가 동시에 적용되지 않도록 묶인 가상 머신 그룹입니다.
  • 장애 도메인 (Fault Domain): 전원 공급 장치, 네트워크 스위치 등 공유된 물리적 인프라를 공유하는 가상 머신 그룹입니다. 하나의 장애 도메인에 문제가 발생해도 다른 장애 도메인의 가상 머신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문제 80

Subscription one이라는 Azure 구독이 있습니다.

Subscription one으로 5TB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합니다.

Azure Import/Export 작업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가져온 데이터의 대상으로 무엇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보기:

A. Azure Cosmos DB 데이터베이스

B. Azure Blob Storage

C. Azure Data Lake Store

D. Azure File Sync 스토리지 동기화 서비스

정답: B

해설:

정답은 B. Azure Blob Storage입니다.

Azure Import/Export 작업은 대량의 데이터를 Azure로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물리적인 저장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가져온 데이터는 Azure Blob Storage 또는 Azure File Storage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zure 구독 (Azure Subscription): Azure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계정입니다.
  • Azure Import/Export 작업: 대용량의 데이터를 물리적인 하드 드라이브를 통해 Azure로 안전하게 전송하는 서비스입니다.
  • Azure Blob Storage: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입니다.
  • Azure Cosmos DB 데이터베이스: 전 세계적으로 확장 가능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 Azure Data Lake Store: 대규모 분석 워크로드를 위해 최적화된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 Azure File Sync 스토리지 동기화 서비스: 온프레미스 파일 서버의 데이터를 Azure 파일 공유와 동기화하는 서비스입니다.

 

반응형

'인공지능,프로그래밍 > MS 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Storage redundancy(중복성)  (0) 2025.04.15
Azure 104 연습 문제 11  (1) 2025.04.14
Azure 104 연습 문제 9  (0) 2025.04.14
Azure 104 연습 문제 8  (0) 2025.04.14
Azure 104 연습 문제 7  (1)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