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프로그래밍/MS Asure

Azure 구독과 테넌트 문제

반응형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일단 첫 문장부터 막힌다. ㅜㅜ

특정 SKU가 무슨 뜻일까?

한 회사가 Azure 구독과 테넌트를 준비해 두었습니다. 꼭 특정 SKU 크기의 가상 기계만 회사 Azure 계정에서 출시되게 하려고 하는데요. 역할 기반 접근 제어를 시행하기로 합니다.이거면 충분할까요?

 


애저에서 SKU VM은 특정 가상 머신의 사양과 기능을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SKU는 "Stock Keeping Unit"의 약자로, 제품의 다양한 기능과 사양을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애저에서는 VM의 크기, 성능, 가격 등을 나타내는 데 이 SKU를 활용합니다.

SKU VM의 의미
SKU 정의: SKU는 특정 제품의 고유한 식별자로, 애저에서는 가상 머신의 다양한 사양을 나타냅니다. 각 SKU는 CPU, 메모리, 스토리지 용량 등 다양한 성능 지표를 포함합니다 .


VM 크기 및 성능: 애저 VM의 SKU는 VM의 크기와 성능을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SKU는 고성능 컴퓨팅을 위한 VM을 나타내거나, 메모리 집약적인 작업을 위한 VM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SKU의 구성 요소
제품군: SKU 이름의 첫 부분은 VM의 제품군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D"는 일반적인 용도의 VM을, "E"는 메모리 최적화 VM을 나타냅니다.
사양: SKU의 나머지 부분은 CPU 코어 수, 메모리 용량 등을 포함하여 VM의 구체적인 사양을 나타냅니다 .


SKU 선택의 중요성
비용 효율성: 적절한 SKU를 선택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작업에 적합한 SKU를 선택하면 불필요한 리소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성능 최적화: 각 SKU는 특정 용도에 최적화되어 있으므로, 작업의 요구 사항에 맞는 SKU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애저에서 SKU VM은 가상 머신의 성능, 크기 및 가격을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적절한 SKU를 선택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애저에서 VM을 선택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자 이제 문제를 다시 볼 수 있을 것 같다. 

정확하게는 모르지만 특정 스팩의 VM을 의미한다는 정도로만 이해하면 될 것 같다. 

문제에서 출시를 일정 스팩으로만 제공하겠다고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묻는데 역할 기반 접근 제어 (RBAC)만 하면 제한이 가능하냐는 질문이다. 

역할 기반 접근 제어 (RBAC)는 무엇인가?

강의를 들었지만 정확한 정의는 잘 모르겠다. 그냥 역할에 따른 제어를 하겠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찾아보니 아래와 같은 복잡한 단계들이 필요하다고 한다. 


시나리오 1

“특정 SKU 크기의 가상 머신(VM)만 Azure 계정에서 출시되게 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에 대한 답변은 Azure의 정책(Policy),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할당 가능한 지역, 그리고 가상 머신 SKU의 사용 가능 여부와 밀접하게 연결

✅ 1단계: 특정 SKU만 허용하도록 Azure Policy 설정하기

Azure Policy를 사용하면 어떤 VM SKU만 사용할 수 있는지 제한할 수 있어. 이를 위해 다음을 수행해야 해:

💡 방법:

  • 정책 정의: VM SKU 이름을 기준으로 제한하는 정책 작성
  • 정책 할당: 해당 정책을 구독, 리소스 그룹, 또는 관리 그룹 수준에 할당

예시 정책 스니펫 (JSON):

{
  "if": {
    "allOf": [
      {
        "field": "type",
        "equals": "Microsoft.Compute/virtualMachines"
      },
      {
        "not": {
          "field": "Microsoft.Compute/virtualMachines/sku.name",
          "in": ["Standard_D2s_v3", "Standard_B2ms"]
        }
      }
    ]
  },
  "then": {
    "effect": "deny"
  }
}

🔹 위 예시는 Standard_D2s_v3 와 Standard_B2ms 만 허용함. 나머지 SKU는 생성 불가.


✅ 2단계: 역할 기반 접근 제어 (RBAC)로 권한 제한

Azure Policy로는 SKU 선택을 제한하고, RBAC는 누가 VM을 생성할 수 있는지를 제어해.

  • 사용자나 그룹이 특정 리소스 그룹에서 VM을 생성할 수 있도록 역할(Role)을 부여하고,
  • 해당 권한에는 VM 생성 외 다른 작업은 포함하지 않도록 설정

✅ 3단계: 지역(Region)별 SKU 가용성 확인

SKU는 모든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님. 따라서 아래 조건도 확인 필요:

  • 원하는 SKU가 지정한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지
  • VM SKU가 계정에 대해 quota 제한에 걸리지 않았는지

🔎 Azure VM SKU 가용성 확인 링크 (공식)


✅ 4단계: 리소스 템플릿 (ARM/Bicep) 또는 Terraform에 SKU 고정

  • Infrastructure-as-Code 방식으로 VM 배포를 자동화하는 경우,
  • SKU 이름을 하드코딩하거나 파라미터로 고정하여 다른 SKU가 선택되지 않게 설정 가능

✅ 요약 – 필요한 조건

조건설명
✅ Azure Policy 허용된 SKU 외 VM 생성을 거부
✅ RBAC 권한 제어 VM을 생성할 사용자만 허용
✅ SKU 가용성 확인 지역별 SKU 사용 가능 여부 확인
✅ 템플릿 적용 배포 자동화 시 SKU 고정
✅ Quota 확인 허용된 SKU 수량이 계정에 충분한지 확인

 


다른 시나리오

애저(Azure) 계정에서 특정 SKU 크기의 가상 머신(VM)만 출시되도록 제한하고 싶다면,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정책 설정(Azure Policy)**과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 1. Azure Policy로 SKU 크기 제한하기

Azure Policy는 조직의 리소스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방법입니다. 특정 가상 머신 SKU만 허용하는 정책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시 정책 조건:

json
 
 
{
  "if": {
    "allOf": [
      {
        "field": "type",
        "equals": "Microsoft.Compute/virtualMachines"
      },
      {
        "not": {
          "field": "Microsoft.Compute/virtualMachines/sku.name",
          "in": ["Standard_DS1_v2", "Standard_B2s"]
        }
      }
    ]
  },
  "then": {
    "effect": "deny"
  }
}

이렇게 하면 위에 명시된 VM SKU만 생성할 수 있고, 나머지는 거부됩니다.

설정 방법:

  • Azure Portal → PolicyDefinitions → 새 정책 정의 생성
  • 정의 후 Scope(범위) 지정: 구독/리소스 그룹 선택
  • Assignment로 실제 적용

✅ 2. RBAC(역할 기반 접근 제어)와 함께 정책 보완

정책은 "무엇이 허용되는가"를 통제하고, **RBAC은 "누가 실행할 수 있는가"**를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특정 사용자에게만 SKU 제한이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예: 특정 개발자 그룹에는 ‘Standard_B2s’만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관리자 그룹은 모든 SKU 가능하게.


✅ 3. 템플릿 배포 방식 제어 (ARM/Bicep)

기업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VM SKU를 ARM 템플릿 또는 Bicep 파일로 지정하여 자동화 배포합니다. 이때 템플릿 내 SKU를 하드코딩하고, Azure Policy로 해당 템플릿 외 배포를 차단하는 방식도 사용됩니다.


✅ 4. Blueprint를 통한 정책 패키지화 (선택적 고급 방식)

여러 정책과 역할을 묶어서 일괄 적용하려면 Azure Blueprint를 사용해 "SKU 제한 + 네트워크 설정 + 태그 관리" 등을 패키지로 만들 수 있습니다.


실무 팁:

  • 정책을 적용하기 전에는 Audit 모드로 먼저 테스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정책이나 RBAC은 Azure DevOps 또는 Terraform 등 IaC 도구와 연동해서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대답은 '아니요'가 되겠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래는 보너스 문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