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Domain Name System)

2025. 3. 18. 08:24인공지능,프로그래밍/MS Asure

반응형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Domain Name System)의 정의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시스템입니다. 인터넷에서 각 장치는 IP 주소(예: 192.168.1.1 또는 2001:db8::ff00:42:8329)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하지만,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를 기억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DNS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예: google.com)을 해당 IP 주소와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DNS의 역할과 기능

DNS는 네트워크와 서버에서 다음과 같은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1.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Name Resolution)

  • 사용자가 www.example.com을 입력하면, DNS는 해당 도메인에 할당된 IP 주소(예: 93.184.216.34)를 찾아 반환합니다.
  •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복잡한 IP 주소를 몰라도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2.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 여러 개의 서버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때, DNS가 트래픽을 분산하여 적절한 서버로 요청을 보낼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www.example.com이 여러 개의 IP 주소를 가질 경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가장 가까운 서버를 할당할 수도 있습니다.

3. 캐싱 (Caching)

  • 네트워크 속도를 높이고 DNS 서버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캐시(Cache) 기능을 사용합니다.
  • 예를 들어, 한 번 google.com에 접속하면 해당 IP 주소가 로컬 시스템이나 ISP의 DNS 서버에 저장되어 다음 요청 시 더 빠르게 연결됩니다.

4. 보안 기능 (DNS Security)

  • **DNSSEC(DNS Security Extensions)**을 통해 위변조된 응답을 방지하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DNS 필터링을 이용해 악성 사이트 접근을 차단할 수도 있습니다.

DNS 서버의 종류 및 역할

DNS는 계층적으로 동작하며, 각각의 서버가 특정 역할을 수행합니다.

1. 루트 네임서버 (Root Name Server)

  • 인터넷 전체의 DNS 계층에서 최상위에 위치합니다.
  • .com, .net, .org 등의 TLD(Top-Level Domain) 네임서버를 가리킵니다.
  • 13개의 공식 루트 네임서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2. TLD 네임서버 (Top-Level Domain Name Server)

  • .com, .net, .kr 같은 특정 도메인 확장자를 관리합니다.
  • 예를 들어, example.com을 요청하면 .com TLD 네임서버에서 example.com의 네임서버 정보를 제공합니다.

3. 권한 있는 네임서버 (Authoritative Name Server)

  • 특정 도메인의 최종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정확히 반환하는 서버입니다.
  • 예를 들어, example.com의 네임서버(NS record)가 ns1.example.com이라면, 이 서버가 최종 IP 주소를 제공합니다.

4. 재귀적 DNS 서버 (Recursive Resolver)

  •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필요한 정보를 찾고 응답을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나 공용 DNS(예: Google DNS 8.8.8.8, Cloudflare 1.1.1.1)가 이 역할을 수행합니다.
  • 재귀적인 방식으로 여러 DNS 서버를 거쳐 최종 IP 주소를 찾아줍니다.

네트워크에서 DNS의 역할

DNS는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인터넷 서비스뿐만 아니라 기업 내부 네트워크에서도 사용됩니다.

1. 웹사이트 및 이메일 서비스 제공

  • 웹사이트 접속(A, AAAA 레코드), 이메일 전송(MX 레코드), 도메인 소유 검증(TXT 레코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2. 내부 네트워크에서의 네임서버 운영

  • 기업 내부에서 DNS 서버를 설정하여 사내 서비스(예: intranet.company.com)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내부 DNS 서버는 인터넷보다 빠르게 내부 서비스를 제공하며, 보안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3. CDN(Content Delivery Network) 및 클라우드 서비스

  • DNS는 CDN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분석하고 최적의 서버를 할당합니다.
  •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가상 서버의 네트워크 주소를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결론

DNS는 도메인과 IP 주소를 연결하는 중요한 시스템으로, 웹사이트 접속, 네트워크 최적화, 보안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DNS 서버는 계층적으로 구성되며, 인터넷 전반에 걸쳐 안정적인 네트워크 운영을 돕습니다.


 

반응형

'인공지능,프로그래밍 > MS As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프레미스 서버  (0) 2025.03.22
MongoDB  (0) 2025.03.19
쿠버네티스(Kubernetes)가 뭐지?  (0) 2025.03.19
Microsoft AZ-305 Korean 시험 요강  (1) 2025.03.15
Microsoft AZ-104 Korean 시험 요강  (0)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