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기사필기

전기기사 전력공학 리액터의 종류 전력공학에는 여러가지 리액터가 나오는데요, 리액터(분로 리액터, 소호 리액터 등)의 종류별 정의 및 특징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액터(Reactor)란? 리액터는 인덕턴스를 이용하여 전력계통의 전류나 전압을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리액터는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전압 조정 : 송전선로의 충전전류나 케이블의 정전용량에 의해 발생하는 페란티 현상을 방지하고,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분로 리액터를 설치합니다. - 고조파 제거 : 변압기나 콘덴서 등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를 억제하고, 파형을 개선하기 위해 직렬 리액터를 설치합니다. - 단락전류 제한 : 계통의 단락시 발생하는 과도한 전류를 제한하고, 절연파괴나 기계적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한류 리액터를 설치합니다. - 지락전류.. 더보기
조상설비의 종류(동기조상기, 전력용콘덴서, 분로리액터) 이번 시간에는 조상설비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상설비란 전력계통에서 발전소와 소비자 사이에 설치되는 장치로, 송전선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무효전력을 공급하여 일정 전압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여, 전력의 품질을 개선하거나 계통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조상설비의 종류에는 동기조상기, 전력용콘덴서, 분로리액터 등이 있습니다. 동기조상기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교류전력을 동기전동기로 변환하여 다시 교류발전기로 되돌리는 장치입니다. 이때, 동기 전동기를 무부하로 운전하고, 계자 전류의 조정을 통해 진상 또는 지상의 무효 전력을 조정하여 역률을 조정합니다 . 동기 조상기는 부하와 병렬로 연결되며, 전력선로의 전압조정 및 역율개선에 사용됩니다. 동기 조상기는 위상특성곡선 (V.. 더보기
송전선의 현수 애자련의 연면 섬락, 연면 섬락이 뭐지? 2010년 전기기사 필기 기출 문제 중에 연면 섬락이라는 단어가 있다. 무슨 뜻일까? 검색해 보니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왔다. 결론부터 말하면 연면이란 의미는 두개가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된 두 개의 도체 사이의 섬락이라는 의미이다. 연면섬락(連面閃絡)은 전기 설비의 두 개 이상의 도체 사이 또는 도체와 대지 사이에서 발생하는 섬락을 말합니다. 섬락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어야 할 두 개 이상의 도체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면섬락은 주로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절연물의 손상 전기 설비의 절연물이 손상되면 전류가 절연물을 통해 새어나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두 개 이상의 도체 사이 또는 도체와 대지 사이에서 섬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습도, 온도,.. 더보기

반응형